Author: Ed
-
최근 우크라이나 – 러시아 사태를 보고 생각해보는 독일의 에너지 전략 2
먼저 이 글은 제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댓글을 달았던 부분을 옮겨온 글임을 밝혀둡니다. 많은 부분이 최근 몇주간 이코노미스트지와 독일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한 저의 생각입니다. 이전 글은 다음 링크를 참조하세요. 경제 제재 동참을 발표하면서 대규모 국방액 지출을 늘리고, 에너지에 대해서 러시아 의존성을 낮추면서 독일 입장에서 경제적인 손해가 많이 예상됩니다만, 완전한 손실로만 여겨지지 않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개인적인 추정이…
-
최근 우크라이나 – 러시아 사태를 보고 생각해보는 독일의 에너지 전략 1
먼저 이 글은 제가 온라인 커뮤니티에 댓글을 달았던 부분을 옮겨온 글임을 밝혀둡니다. 많은 부분이 최근 몇주간 이코노미스트지와 독일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한 저의 생각입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약간의 숙고 기간을 걸쳐 독일의 러시아 경제 제재 동참 및 새로운 에너지 전략, 그리고 군비증강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 때 각 에너지 기업들은 현재진행형인 계약까지는 그대로 가져가는 걸로 이야기가…
-
비전공적 글쓰기에 대한 단상
“일단 필자의 전공분야가 아니므로 신나게 필자의 생각을 이야기해보도록 하자”라는 일견 비겁해 보이기도 한 이러한 변명은, 글쓰기의 삶을 훨씬 풍족하게 해준다. 항상 딱딱한 논문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모든 논리적 뒷받침을 참고문헌과 함께 제공하는 글쓰기에 감염되어 있다보면 한 발 걸친 분야에 대해서 대화나 글을 매우 조심하게 되곤 한다. 이러한 전혀 다른분야의 이야기는, 필자의 생각이면서, 굳이 논증하지 않고 지나가도…
-
개인이 가지는 여가에 대한 단상
“내가 온전히 쓸 수 있는 여가시간”에 대한 나이브한 질문은 한번씩 나의 머리속을 헝클어버리곤 한다. 간단한것 같으면서도 의외로 대답하기 힘든 이 질문 속에서는, 평균에 대한 환상이 숨어져 있는 것 같다. 정답이 없는 문제의 정답을 찾고자 하는 행동은 의미없는 듯 하면서도, 그 과정속에서 여러가지 재미 선사해 주곤 한다. 그런 의미에서, 큰 의미가 없을수도 있는 나의 여유에 대해…
-
좋은 생산성 도구의 조건
제법 오랜 시간동안 지식 관리도구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을 많이 해 오곤 했고, 그 중 일부는 개인의 워크플로우에 결합시키기도 했었다. 하지만, 관리도구가 복잡해질수록 그리고 사용할때의 직관성이 떨어질수록, 실질적인 생산성은 떨어졌던것 같다. 지난 경험들에서 얻은 결론은, 생산성과 관련된 도구들은[1], (i)그 목적이 명확하고, (ii) 일의 방향 및 과정에 적절해야 하고, (iii)기능이 직관적이며, (iv)신뢰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많은…